ping 과 traceroute 는 IT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. 하지만 ping 과 traceroute 의 기본 설정값은 1초 단위로 응답을 받거나 DNS를 기본 룩업 하는 등 기본적인 동작이 매우 느립니다. 한국인의 정서에 맞지 않죠. 따라서 빠른 ping 과 traceroute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Speedup ping command
ping -n -W VALUE -i VALUE host
- -n : 빠른 명령을 위한 DNS lookup 비활성
- -W NUMBER :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 (초). 이 옵션은 응답이 없을 때만 영향을 받습니다.
- -i SECONDS : 각 패킷 전송 사이의 대기 간격 (초). 기본값은 각 패킷 사이에 보통 1 초. root 권한을 사용하면 패킷 전송 사이의 대기 간격을 0.2 초 미만으로 설정 가능
아무 옵션 없이 ping 명령 실행 시
ping kr.yahoo.com
아래와 같은 옵션으로 실행 시
ping -c 100 -n -i 0.02 kr.yahoo.com
-c 100 옵션으로 100번의 ping 이 수행되며
-n 옵션으로 DNS lookup 을 수행하지 않고
-i 0.02 옵션으로 ping 패킷 전송 사이의 대기간격을 0.02 초로 수행합니다. (0.02초 이하는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)
Speedup traceroute command
traceroute -n -w SECONDS -q NUMBER host
- -n : 빠른 명령을 위한 DNS lookup 비활성
- -w seconds : 응답패킷을 수신받기 위한 시간 (default 5초)
- -q NUMBER : Hop 당 traceroute 쿼리 수행 횟수 (default 3회)
traceroute -n -w 1 -q 1 rsec.kr
위와 같은 옵션으로 실행 시
-n 옵션으로 DNS lookup 비활성
-w 1 옵션으로 응답패킷은 1초동안반 수신대기 함
-q 1 옵션으로 hop 당 쿼리는 1회만 발송
하여 빠른 traceroute 쿼리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.
너무 포스팅 안해서 ping 과 traceroute 유틸리티의 기본적인 내용 포스팅 합니다 ㅠㅠ
감사합니다.